반응형

스프링 타일즈(Spring Tiles)란?

스프링 타일즈는 뷰(view) 관리를 효율적으로 하기 위한 템플릿 프레임 워크입니다. 타일즈를 사용하면 여러 페이지에서 
공통으로 사용하는 레이아웃(헤더, 풋터, 사이드바 등)을  분리하여 재사용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사이트의 모든 페이지가 동일한 레이아웃을 공유하는 경우, 타일즈를 사용하여 레이아웃을 한 번 
정의하고 페이지별로 변화하는 부분만 채우면 됩니다. 

스프링 타일즈의 주요 장점

  1. 재사용성
  2. 유지보수성
  3. 구조화된 코드

스프링 타일즈 사용법

스프링 타일즈를 사용하려면 몇 가지 설정이 필요합니다.

  1. 타일즈 종속성 추가
    • pom.xml에 타일즈 관련 의존성을 추가해야 합니다.
         <dependency>
             <groupId>org.apache.tiles</groupId>
             <artifactId>tiles-extras</artifactId>
             <version>3.0.8</version>
         </dependency>
  2. 타일즈 설정 파일 구성
    • tiles.xml 파일을 생성하여 레이아웃 페이지 구성 요소를 정의합니다.
      <definition name="baseLayout" template="/WEB-INF/views/layouts/baseLayout.jsp">
        <put-attribute name="header" value="/WEB-INF/views/common/header.jsp" />
        <put-attribute name="footer" value="/WEB-INF/views/common/footer.jsp" />
        <put-attribute name="content" value="" />
      </definition>
      <definition name="home" extends="baseLayout">
        <put-attribute name="content" value="/WEB-INF/views/home.jsp" />
      </definition>
  3. 타일즈 뷰 리졸버 설정
    • 스프링 설정 파일(spring-web.xml)에 타일즈 뷰 리졸버를 등록합니다.
        <bean id="tilesViewResolver" class="org.springframework.web.servlet.view.UrlBasedViewResolver">
            <property name="viewClass" value="org.springframework.web.servlet.view.tiles3.TilesView" />
        </bean>
        <bean id="tilesConfigurer" class="org.springframework.web.servlet.view.tiles3.TilesConfigurer">
            <property name="definitions">
                <list>
                    <value>/WEB-INF/tiles.xml</value>
                </list>
            </property>
        </bean>

클로징 패널을 그러면 어떻게 제작할 것인가?

  1. 클로징 패널의 역할과 특성
    • 클로징 패널은 사이트의 모든 페이지에서 언제든지 표시될 수 있어야 합니다. 이는 타일즈의 레이아웃 관리 특성과 잘 맞아떨어지며, 공통 레이아웃 요소로 정의하면 페이지마다 중복된 코드를 작성하지 않아도 됩니다.
  2. 클로징 패널 구현 방식
    • 클로징 패널의 구현은 JavaScript를 활용하여 동적인 위치 및 동작을 제어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페이지 내 특정 좌표(x, y)에 맞춰 패널이 표시되도록 할 수 있습니다. 이를 위해 다음과 같은 방식으로 접근할 수 있습니다
    • JavaScript로 동적 위치 제어: 페이지 스크롤 위치에 따라 클로징 패널이 적절히 나타나거나 사라질 수 있도록 설정할 수 있습니다.
  3. HTML 및 데이터 연동
    • 운영자들이 쉽게 패널의 콘텐츠를 수정할 수 있도록 HTML 태그를 동적으로 불러와 활용하는 방법도 중요합니다. 이를 위해 클로징 패널의 내용은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해 두고, 필요할 때 타일즈 템플릿에 이를 불러와 삽입하는 구조로 구현할 수 있습니다.
      •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콘텐츠: 패널의 텍스트나 이미지는 데이터베이스에서 불러와 동적으로 출력되도록 하여 유지보수가 용이하도록 합니다.

이렇게 하면 클로징 패널은 모든 페이지에서 쉽게 재사용될 수 있고, 운영자들이 직접 콘텐츠를 관리할 수 있게 되어 유연한 운영이 가능합니다.

 

타일즈가 올드한 기술인 이유

  1. 유지보수 중단: Apache Tiles 프로젝트는 더 이상 적극적으로 유지보수되지 않고 있습니다. 이는 보안 업데이트나 새로운 기능 추가가 없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2. 템플릿 엔진의 변화: JSP 기반의 타일즈보다 더 간결하고 강력한 템플릿 엔진인 ThymeleafFreeMarker가 스프링 프레임워크에서 주류로 자리 잡았습니다. 특히 Thymeleaf는 자연스러운 HTML 템플릿을 제공하여 프론트엔드와 백엔드의 협업을 더욱 쉽게 만듭니다.
  3. 새로운 웹 기술: 최근 몇 년 동안 ReactVue.js 같은 프론트엔드 자바스크립트 프레임워크가 인기를 끌면서, 서버에서 전통적인 JSP 템플릿을 사용하지 않고 API를 통해 데이터를 주고받는 방식이 많이 쓰이고 있습니다. 이로 인해 타일즈 같은 서버사이드 템플릿 엔진의 수요가 줄어들었습니다.
반응형
반응형

1. 스프링 프레임워크에서 IoC(Inversion of Control)란 무엇이며, 왜 사용하는가?

대답: IoC(Inversion of Control)는 스프링 프레임워크의 핵심 원칙 중 하나로, 객체의 생성과 생명주기 관리를 애플리케이션 코드가 아닌 컨테이너가 담당하게 하는 것을 말합니다. IoC를 사용하는 주된 이유는 코드의 결합도를 낮추고, 유연성 및 확장성을 향상시키며, 테스트와 유지보수를 용이하게 하기 위해서입니다.

2. 의존성 주입(Dependency Injection)과 팩토리 패턴의 차이점은 무엇인가?

대답: 의존성 주입은 IoC의 한 형태로, 객체의 의존성을 외부에서 주입하는 방식입니다. 이를 통해 클래스 간의 결합도를 낮추고, 코드를 더 유연하게 만듭니다. 반면, 팩토리 패턴은 객체 생성을 캡슐화하는 디자인 패턴으로, 클라이언트가 객체의 생성 과정을 몰라도 되게 합니다. 의존성 주입은 주로 객체 간의 의존성을 관리하는 데 초점을 맞추고, 팩토리 패턴은 객체 생성의 복잡성을 추상화하는 데 중점을 둡니다.

3. static 키워드의 사용 사례와 장단점은 무엇인가?

대답: static 키워드는 클래스 레벨의 변수나 메소드에 사용되며, 이를 통해 인스턴스 생성 없이 해당 멤버에 접근할 수 있습니다. 사용 사례로는 상수 값 정의, 유틸리티 메소드 구현 등이 있습니다. **static**의 장점은 메모리 효율성과 접근성이지만, 과도한 사용은 객체지향 원칙에 어긋나고, 코드의 테스트와 유지보수를 어렵게 만들 수 있습니다.

4. public, private, 그리고 protected 접근 제어자에 대해 설명하라.

대답: public 접근 제어자는 클래스, 메소드, 필드가 어떤 클래스에서도 접근할 수 있음을 의미합니다. **private**은 해당 멤버가 선언된 클래스 내부에서만 접근할 수 있음을 의미하며, 다른 클래스에서는 접근할 수 없습니다. **protected**는 해당 멤버가 선언된 클래스와 해당 클래스를 상속받은 자식 클래스에서 접근할 수 있음을 의미합니다. 이러한 접근 제어자는 객체의 캡슐화를 돕고, 객체 간의 결합도를 관리하는 데 사용됩니다.

반응형
반응형

1. 싱글톤 패턴이란 무엇이며 어떤 문제를 해결하려고 사용하는가?

  • 오직 하나, 인스턴스, 전역 변수, 데이터베이스

답변: 싱글톤 패턴은 클래스의 인스턴스가 오직 하나만 생성되도록 보장하는 디자인 패턴입니다. 이 패턴은 전역 변수를 사용하지 않고 객체의 유일한 인스턴스에 접근할 수 있는 방법을 제공합니다. 싱글톤 패턴은 주로 공유 리소스에 대한 일관된 접근 지점을 제공하거나, 시스템 전체에서 공유되어야 하는 설정 정보와 같은 경우에 사용됩니다. 예를 들어, 데이터베이스 연결이나 로그 파일 핸들러 같은 리소스에 대한 중복 생성을 방지하고, 메모리 사용을 최적화하는 데 유용합니다.

2. 싱글톤 패턴을 구현하는 방법에는 어떤 것들이 있나요?

답변: 싱글톤 패턴을 구현하는 방법은 여러 가지가 있습니다. 가장 기본적인 방법은 private 생성자와 static 메소드를 사용하는 것입니다. 이 방법에서는 클래스 내에 static으로 유일한 객체 인스턴스를 참조하는 변수를 선언하고, 객체 인스턴스를 반환하는 public static 메소드를 제공합니다. 이 메소드는 객체 인스턴스가 아직 생성되지 않았으면 새로 생성하고, 이미 생성되었으면 기존의 인스턴스를 반환합니다.

3. 싱글톤 패턴의 단점은 무엇인가요?

답변: 싱글톤 패턴은 유용하지만 몇 가지 단점이 있습니다. 첫째, 싱글톤 인스턴스는 전역 상태를 만들기 때문에 코드의 결합도를 높일 수 있습니다. 이는 코드의 테스트와 유지보수를 어렵게 만들 수 있습니다. 둘째, 멀티스레드 환경에서 싱글톤 객체의 동기화를 잘못 관리하면 성능 저하나 데드락 같은 문제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셋째, 싱글톤 패턴의 사용은 객체 지향 디자인 원칙 중 하나인 '개방-폐쇄 원칙(Open/Closed Principle)'을 위배할 수 있습니다. 이 원칙은 소프트웨어 엔티티(클래스, 모듈, 함수 등)는 확장에는 열려 있어야 하지만, 변경에는 닫혀 있어야 한다는 것을 의미하는데, 싱글톤 인스턴스는 이 원칙을 준수하기 어렵게 만듭니다.

반응형
반응형

chat gpt한테 물어봐서 어떻게 공부하면 찐 개발자가 될 수 있냐고 했더니 알려준 로드맵..!

여기 내용을 바탕으로 앞으로 공부를 꾸준히 해보려고 한다...

1. 알고리즘과 자료 구조

  • 중요성: 효율적인 알고리즘과 자료 구조를 이해하는 것은 성능 문제를 해결하는 데 기본입니다. 성능 저하의 원인을 파악하고 개선할 수 있는 기본적인 능력을 기를 수 있습니다.
  • 학습 내용:
    • 정렬, 탐색, 그래프, 트리, 해시 테이블 등 기본적인 자료 구조
    • 시간 복잡도, 공간 복잡도 분석
    • 동적 계획법, 분할 정복, 그리디 알고리즘 등 알고리즘 기법

2. 데이터베이스 최적화

  • 중요성: 대부분의 성능 문제는 데이터베이스와 관련이 있습니다. 쿼리 최적화, 인덱싱, 캐싱 등 데이터베이스 성능을 향상시키는 기술을 알아야 합니다.
  • 학습 내용:
    • SQL 쿼리 최적화 방법
    • 인덱스 설계 (B-Tree, Hash 인덱스 등)
    • 데이터베이스 트랜잭션, Lock, Deadlock 처리 방법
    • 분산 데이터베이스와 샤딩, 파티셔닝 개념

3. 시스템 아키텍처와 성능 최적화

  • 중요성: 시스템의 전체적인 구조를 이해하고 성능을 최적화하기 위해서는 시스템 아키텍처 설계와 캐싱, 로드 밸런싱, 레이트 리미팅과 같은 기술을 공부해야 합니다.
  • 학습 내용:
    • 캐싱: Redis, Memcached 등으로 데이터 캐싱하기
    • 로드 밸런싱: 트래픽 분산 및 서버 부하 관리
    • 레이트 리미팅: API 호출 제한하는 방법 (Redis, NGINX 등 활용)
    • 비동기 처리: 메시지 큐 (RabbitMQ, Kafka 등) 사용
    • Microservices Architecture와 같은 확장 가능한 시스템 설계 방법

4. 동시성 및 비동기 프로그래밍

  • 중요성: 여러 요청이 동시에 발생할 때 생기는 문제들을 해결하기 위해서는 동시성, 스레드 관리, 비동기 프로그래밍을 이해해야 합니다.
  • 학습 내용:
    • 스레드와 프로세스: 운영체제의 스레드, 프로세스 개념 및 차이
    • 동시성 제어: Lock, Semaphore, Monitor 등을 통한 동시성 관리
    • 비동기 처리: Python의 asyncio, Java의 CompletableFuture, JavaScript의 Promise 등 비동기 처리 방식
    • 트랜잭션 관리: 트랜잭션의 격리 수준, Locking 전략

5. 네트워크 및 분산 시스템

  • 중요성: 네트워크 지연과 대규모 시스템에서 발생하는 문제들을 이해하고 처리하기 위해 네트워크와 분산 시스템에 대한 이해가 필수입니다.
  • 학습 내용:
    • HTTP, WebSocket, TCP/IP 등의 네트워크 프로토콜 이해
    • 분산 시스템의 기본 개념: CAP 이론, Consistency, Availability, Partition tolerance
    • NoSQL: Redis, Cassandra 등 비관계형 데이터베이스 이해
    • 클라우드: AWS, Azure, GCP 등의 클라우드 환경에서의 아키텍처 설계

6. 성능 분석 및 모니터링 도구 사용

  • 중요성: 문제를 진단하고 모니터링할 수 있어야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습니다.
  • 학습 내용:
    • 성능 모니터링 도구: Scouter, Prometheus, Grafana, APM 도구 사용법
    • 로그 분석: ELK Stack (Elasticsearch, Logstash, Kibana), Splunk
    • 프로파일링: 코드 레벨에서 성능 분석하는 프로파일러 사용법

7. 테스트와 최적화 기법

  • 중요성: 시스템의 성능 문제를 발견하고 개선하는 과정에서 테스트와 튜닝 방법을 알아야 합니다.
  • 학습 내용:
    • 부하 테스트 도구: JMeter, Locust, k6
    • 최적화 기법: 코드 최적화, 쿼리 최적화, 시스템 튜닝
    • 트러블슈팅 기법: 성능 문제의 원인 분석 및 해결 방법론

8. 책 추천

  • Clean Code by Robert C. Martin: 코드 품질 향상을 위한 기초
  • Designing Data-Intensive Applications by Martin Kleppmann: 데이터베이스와 분산 시스템의 설계에 대한 심도 있는 내용
  • The Art of Scalability by Martin L. Abbott, Michael T. Fisher: 대규모 시스템을 확장하는 방법에 대한 실무적인 조언
  • Concurrency in Practice by Brian Goetz: Java 기반의 동시성 프로그래밍을 다룬 책이지만, 다른 언어에서도 적용 가능한 내용들이 많음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