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스프링 타일즈(Spring Tiles)란?
스프링 타일즈는 뷰(view) 관리를 효율적으로 하기 위한 템플릿 프레임 워크입니다. 타일즈를 사용하면 여러 페이지에서
공통으로 사용하는 레이아웃(헤더, 풋터, 사이드바 등)을 분리하여 재사용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사이트의 모든 페이지가 동일한 레이아웃을 공유하는 경우, 타일즈를 사용하여 레이아웃을 한 번
정의하고 페이지별로 변화하는 부분만 채우면 됩니다.
스프링 타일즈의 주요 장점
- 재사용성
- 유지보수성
- 구조화된 코드
스프링 타일즈 사용법
스프링 타일즈를 사용하려면 몇 가지 설정이 필요합니다.
- 타일즈 종속성 추가
- pom.xml에 타일즈 관련 의존성을 추가해야 합니다.
<dependency> <groupId>org.apache.tiles</groupId> <artifactId>tiles-extras</artifactId> <version>3.0.8</version> </dependency>
- pom.xml에 타일즈 관련 의존성을 추가해야 합니다.
- 타일즈 설정 파일 구성
- tiles.xml 파일을 생성하여 레이아웃 페이지 구성 요소를 정의합니다.
<definition name="baseLayout" template="/WEB-INF/views/layouts/baseLayout.jsp"> <put-attribute name="header" value="/WEB-INF/views/common/header.jsp" /> <put-attribute name="footer" value="/WEB-INF/views/common/footer.jsp" /> <put-attribute name="content" value="" /> </definition> <definition name="home" extends="baseLayout"> <put-attribute name="content" value="/WEB-INF/views/home.jsp" /> </definition>
- tiles.xml 파일을 생성하여 레이아웃 페이지 구성 요소를 정의합니다.
- 타일즈 뷰 리졸버 설정
- 스프링 설정 파일(spring-web.xml)에 타일즈 뷰 리졸버를 등록합니다.
<bean id="tilesViewResolver" class="org.springframework.web.servlet.view.UrlBasedViewResolver"> <property name="viewClass" value="org.springframework.web.servlet.view.tiles3.TilesView" /> </bean> <bean id="tilesConfigurer" class="org.springframework.web.servlet.view.tiles3.TilesConfigurer"> <property name="definitions"> <list> <value>/WEB-INF/tiles.xml</value> </list> </property> </bean>
- 스프링 설정 파일(spring-web.xml)에 타일즈 뷰 리졸버를 등록합니다.
클로징 패널을 그러면 어떻게 제작할 것인가?
- 클로징 패널의 역할과 특성
- 클로징 패널은 사이트의 모든 페이지에서 언제든지 표시될 수 있어야 합니다. 이는 타일즈의 레이아웃 관리 특성과 잘 맞아떨어지며, 공통 레이아웃 요소로 정의하면 페이지마다 중복된 코드를 작성하지 않아도 됩니다.
- 클로징 패널 구현 방식
- 클로징 패널의 구현은 JavaScript를 활용하여 동적인 위치 및 동작을 제어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페이지 내 특정 좌표(x, y)에 맞춰 패널이 표시되도록 할 수 있습니다. 이를 위해 다음과 같은 방식으로 접근할 수 있습니다
- JavaScript로 동적 위치 제어: 페이지 스크롤 위치에 따라 클로징 패널이 적절히 나타나거나 사라질 수 있도록 설정할 수 있습니다.
- HTML 및 데이터 연동
- 운영자들이 쉽게 패널의 콘텐츠를 수정할 수 있도록 HTML 태그를 동적으로 불러와 활용하는 방법도 중요합니다. 이를 위해 클로징 패널의 내용은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해 두고, 필요할 때 타일즈 템플릿에 이를 불러와 삽입하는 구조로 구현할 수 있습니다.
-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콘텐츠: 패널의 텍스트나 이미지는 데이터베이스에서 불러와 동적으로 출력되도록 하여 유지보수가 용이하도록 합니다.
- 운영자들이 쉽게 패널의 콘텐츠를 수정할 수 있도록 HTML 태그를 동적으로 불러와 활용하는 방법도 중요합니다. 이를 위해 클로징 패널의 내용은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해 두고, 필요할 때 타일즈 템플릿에 이를 불러와 삽입하는 구조로 구현할 수 있습니다.
이렇게 하면 클로징 패널은 모든 페이지에서 쉽게 재사용될 수 있고, 운영자들이 직접 콘텐츠를 관리할 수 있게 되어 유연한 운영이 가능합니다.
타일즈가 올드한 기술인 이유
- 유지보수 중단: Apache Tiles 프로젝트는 더 이상 적극적으로 유지보수되지 않고 있습니다. 이는 보안 업데이트나 새로운 기능 추가가 없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 템플릿 엔진의 변화: JSP 기반의 타일즈보다 더 간결하고 강력한 템플릿 엔진인 Thymeleaf와 FreeMarker가 스프링 프레임워크에서 주류로 자리 잡았습니다. 특히 Thymeleaf는 자연스러운 HTML 템플릿을 제공하여 프론트엔드와 백엔드의 협업을 더욱 쉽게 만듭니다.
- 새로운 웹 기술: 최근 몇 년 동안 React나 Vue.js 같은 프론트엔드 자바스크립트 프레임워크가 인기를 끌면서, 서버에서 전통적인 JSP 템플릿을 사용하지 않고 API를 통해 데이터를 주고받는 방식이 많이 쓰이고 있습니다. 이로 인해 타일즈 같은 서버사이드 템플릿 엔진의 수요가 줄어들었습니다.
반응형